Nowhere Rebel
: Remembering Duncan Hannah
Duncan Hannah's Paintings
From Private Collections
Nov 8, 2024 - Jan 25, 2025
Wed - Sun, 11am - 6pm
Duncan Hannah, The Honeytrap, 2010
Thomas Park is pleased to announce Nowhere Rebel : Remembering Duncan Hannah (1952–2022), a selection of his paintings from private collections in Seoul. We are deeply grateful for the invaluable help and support from the collectors of Hannah’s work who are participating in this show. The exhibition was conceived around Hannah's unwavering pursuit of his personal artistic vision in the face of shifting trends, with a focus on works that bridge different worlds—classical and contemporary, real and imagined.
Duncan Hannah was an American painter known for his evocative works inspired by European art, literature, and pop culture. Hannah was part of the city’s bohemian world, frequenting iconic venues alongside notable musicians, writers, and artists of the era. Rejecting the dominant trends of abstraction and conceptual art, Hannah instead embraced figuration and narrative in painting. He created scenes that often offer a glimpse of other worlds—romantic, mysterious, and slightly surreal. Evocative of a sense of longing, Hannah blended imagery from old films, advertisements, and art history into compositions oscillating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In addition to his paintings, Hannah is also known for his memoir 20th Century Boy: Notebooks of the Seventies, which offers an intimate look at his early years as an artist in New York’s underground art and music scenes. The book captures the essence of the 1970s in New York while offering insight into the personal trials and triumphs of an artist determined to go on.
Hannah had over 70 solo exhibitions across the US and Europe, was awarded a Guggenheim Fellowship in 2011,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 Club 57: Film, Performance, and Art in the East Village, 1978–1983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in 2017–18.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the Whitney Museum of Art, and the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
토마스팍 갤러리는 던컨 한나(1952~2022)의 개인전 Nowhere Rebel: Remembering Duncan Hannah를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이번 전시는 특별히 서울에 위치한 그의 프라이빗 컬렉션에서 온 작품들로 이루어졌다. 던컨 한나의 2주기를 맞은 이번 가을, 한나를 기억하는 뜻깊은 전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컬렉터들의 소중한 도움과 지원에 깊은 감사를 전한다. 이번 전시가 던컨 한나라는 예술가, 그리고 그의 유산—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서 자신만의 예술적 비전을 위해 평생을 헌신하고 고전과 현대, 현실과 상상을 넘나들며 다른 세계들을 연결해온 그의 능력—을 기억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던컨 한나는 유럽의 예술, 문학, 그리고 대중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특별한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으로 알려진 미국의 화가이다. 한나는 1970-80년대 뉴욕의 보헤미안 세계를 생생하게 체험한 인물로, 당대의 음악가, 작가, 예술가들과 유명 장소들에 출몰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 한나는 추상회화의 개념 미술의 지배적인 경향을 거부하고, 대신 서사가 있는 구상회화를 택했다. 그는 종종 이 세상과 다른 어떤 세상을 엿보고 있는 듯한 장면을 그렸는데, 이 장면들은 낭만적이고 신비로우며 약간 초현실적이다. 그의 작품은 오래된 영화, 광고, 미술사 속 이미지를 혼합하여 현실과 상상 사이에 위치하며 알 수 없는 그리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그의 회화 작업 외에도 한나는 뉴욕의 언더그라운드 미술과 음악계에서 예술가로서 활동했던 초창기 시절을 자세 다룬 회고록 20세기 소년: 70년대 노트 20th Century Boy: Notebooks of the 70s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1970년대 뉴욕의 시대적 정수를 포착한 동시에 자신의 길을 걷는 한 예술가의 개인적인 시련과 승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한나는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70회가 넘는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1년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수상했고, 2017-18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클럽 57: 이스트 빌리지의 영화, 공연, 예술 1978-1983 전시회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휘트니 미술관, 미니애폴리스 미술관의 영구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다.
There was no revolution; I just changed the room.
—Soo Young Kim
Duncan Hannah was a man who would be described with the words with these suffixes—philia, phile—which mean lover of. He was a bibliophile, cinephile, and known for being anglophile. He loved music, cars and clothes. Once, he even described himself as a scopophilia—a peeping Tom— the characteristic most painters share, he insisted. “Looking is the engine of all!” He loved actresses whose names no one knew and remembered movies no one would talk about. He loved to be in a wool sweater, wearing loafers, and sitting cross-legged with a look on his face as if he didn’t care. He was passionate and enthusiastic about what he loved—and he loved painting—yet, he always held an aura of displacement, never fully engaged. For that reason, the world around him felt slightly unreal. Even around his easel holding a brush, he didn’t quite look like a painter.
As I began writing this, I tried to describe Hannah briefly; I found my description also fits his paintings. In his paintings, we find books, records, girls, English landscapes, cars… all the things he loved. But nothing was real; none of the images were not from real life but from movies and magazine clips. There are even paintings of fictitious Penguin books he made up.
Looking through his catalogs to organize this show, it was funny to be reminded that he had a show at a gallery named Pierre Menard (the name of a fictitious writer who authored the entirely “new” Don Quixote, created by Jorge Luis Borges). I must have seen it somewhere and forgotten about it. Thomas Park, my gallery, is also a name that I made up, hoping that Thomas would work hard for me. (I picked the name Thomas because I liked the typeface used on the cover of Thomas the Obscure by Maurice Blanchot.)
But Hannah was real. He was a real painter, a thinker. His paintings are luminous and sincere. Once I said to him, “It is funny that I feel tenderness in your paintings; tenderness is hard to find anywhere, especially in art these days.” Hannah approved, “You are right. Being tender is important to me.”
When I first saw his paintings in the early 2000s in New York, since they had a quality of illustrations—he was once an illustrator working for Andy Warhol’s Interview— I placed them in my head as bad paintings in the lineage of Francis Picabia, the father of bad painting(think of his late “pin-up girl” paintings). Picabia’s tongue-in-cheek attitude is evident in his successors: David Salle, Sigmar Polke, and John Currin. We see the same light-heartedness in Hannah’s paintings, devoid of classical heaviness, but he was not joking, cynical, or in the business of the new and provoking. He was sincere about what he painted, his adoration. Being infatuated is one thing; being tender is another. It requires courage and character to be tender. That’s what makes Hannah’s work different.
Hannah once said he basically “ignored the avant-garde” even though he lived and worked most of his life in New York. Even though he walked(and would fall) right through the punk scene and the vibrant era of the New York art world in the 70’s and 80’s. It is a tremendous work itself “to ignore the avant-garde” in New York. It makes your life hard. It messes your mind. Hannah said in an interview, “I was surprised by the conformity of the art world. Because I always thought from afar that it was a bunch of eccentrics who couldn’t really agree on anything and were marching to their own drummers. But there was a rigidity to it that really kind of baffled me.”
When you “follow” the avant-garde, you are not avant-garde. When the avant-garde is respected, it ceases to be. The moment a confession is uttered, it gets corrupted; once the artistic innovation is done, it can’t be repeated to the same significance. Unfortunately, innovation often gets repeated, forms a trend, and eventually, the power. Hannah knew that, as did Balthus and Edward Hopper. It is hard to be up against this power as an individual artist with a personal vision, especially when his voice is nuanced. It is one of the dilemmas the art world inherently has and doesn’t seem to resolve. There are great disadvantages and inconveniences to being authentic and staying personal in the art world, not to mention the world outside.
Hannah loved many painters. There were quite a few shared “favorite artists” between Hannah and me; we would talk about them when I visited his studio. Fairfield Porter, R.B. Kitaj, Gwen John, and Wilhelm Hammershoi to name a few. Edward Hopper, no doubt, was one of them. Hopper and Hannah shared a lot, but they also differed. They both loved movies, loved to read, and would paint a sole nude in a room, deserted streets with few people. They both have surreal subtones in their paintings. But Hopper was decidedly American, and in the present, Hannah was anglophile, if not Europhile, and seemed to reside in the past. Hopper was big on the metaphysical quality or intention of his work, though he was reticent about it. Hannah was not like that. He would talk more about the actress he painted, tell me her name like I should have known already, and the movie she was in it. He would talk about how he got the image he painted from, how he got her arm right.
Then, he would introduce me to the painters I was not familiar with. He would take out heavy monographs of the English painters like Walter Sickert and William Nicholson. I would be enthralled by how psychologically complex and elegant these painters are. Hannah obviously had one foot in his historical involvement with Pop Art, notably Andy Warhol, and another in the elegant masters like them. When you look at the white dab of paint in Nicholson’s painting of a bowl, you can understand why they paint what they paint. It is the erotic of painting. It must have been this physical moment that Hannah pursued in painting.
When I think of Hannah now, two years have passed since he left us; more than anything, he was defiant. He didn’t have an agenda or a manifesto; he was being himself in his studio and painting what he loved. Yes, it takes a rebel to be yourself. The world will not change for you; you stay in your room and do what you do with a kind of intelligence that is enough to change the world. You look around; there is nothing you long for, nowhere to be yourself. All you dream about is only in the stories, poems, movies, and paintings you love and, if lucky, in your distant memory. Hannah’s highly personal manifesto is elegantly disguised in these paintings, which he once called love letters.
Mimi Park
Duncan Hannah, French Gangster, 2009
Nowhere Rebel 어디에도 반항아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을 바꾸었을 뿐이다.
—김수영
던컨 한나는 애호가를 뜻하는 접미사가 붙은 단어로 묘사되는 사람이었다. 그는 독서광이자 영화광이었고, “영국광anglophile”로 알려져 있었다. 음악과 자동차와 옷을 좋아했다. 한 번은 자신을 스코포필리아, 즉 관음증자로 표현하기도 했는데, “보는 것은 모든 것의 원동력이다!”라며 이는 대부분의 화가들이 공유하는 특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여배우를 사랑했고, 아무도 보지 않은 영화를 기억했다. 울 스웨터를 입고 로퍼를 신은 채 신경쓰지 않는다는 표정으로 다리를 꼬고 앉아 있곤 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열정이 대단했지만—물론 그는 그림 그리는 일을 사랑했다—그는 언제나 어딘가에 잘못 와있는 듯, 현실에 개입하지 않고 있다는 느낌을 주었다. 그런 이유로 그의 주변은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이젤 앞에서 붓을 들고 있을 때조차 그는 화가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한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려 했는데, 그의 작품세계를 묘사하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의 작품에는 책, 음반, 여성, 영국 풍경, 자동차 등 그가 사랑했던 모든 것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들은 실제가 아니었다. 그러니까 현실 속 장면들이 아닌, 영화나 잡지 사진에서 따온 이미지들이었다. 그의 작품 중엔 심지어 그가 지어낸 허구의 펭귄 책 표지도 있다.
전시를 위한 그의 도록들을 살펴보다가 한나가 피에르 메나르(피에르 메나르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가 쓴 소설 속의, 완전히 '새로운' 돈키호테를 집필한 작가 이름이다)라는 갤러리에서 전시를 열었다는 사실을 보고 새삼 웃었다. 어디선가 봤는데 잊고 있었던 것 같다. 내 갤러리 토마스팍 역시 토마스가 나 대신 열심히 일해주길 바라며 지어낸 허구의 이름이다.(토마스라는 이름은 모리스 블랑쇼의 도마, 알 수 없는 자Thomas the Obscure의 영어판 표지에 사용된 폰트가 마음에 들어서 짓게 된 이름이다.)
하지만 한나는 진짜였다. 그는 진정한 화가이자 사유하는 사람이었다. 그의 그림은 안에서 우러나는 빛으로 반짝였고, 진지했다. 한번은 내가 “선생님의 그림에서는 신기하게 애정어린 부드러움 같은 게 느껴져요. 요즘 미술에서 부드러움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데 말이죠.”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한나는 “그 말이 맞아요. 부드러움은 저에게 중요하죠.”라며 인정했다.
2000년대 초 뉴욕에서 그의 그림을 처음 보았다. 그의 그림은 삽화 같은 느낌을 주었기 때문에(한때 그는 앤디 워홀의 잡지 <인터뷰>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했었다) 나는 “나쁜 그림”의 대부 격인 프란시스 피카비아(그의 후기 '핀업 걸' 그림을 떠올려보라)의 계보를 잇는 그림으로 분류했다. 후기 피카비아의 농담 조의 태도는 데이비드 살레, 지그마르 폴케, 존 커린과 같은 그의 후계자들에게서도 드러난다. 이들의 그림에서와 같은, 고전 회화의 무게가 덜어진 가벼움이 있지만, 한나는 농담을 하거나 냉소적이거나 미술계의 주목을 받기 위한 새로움과 도발을 의도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해, 자신이 사랑하는 것에 대해 진지했다. 열정적으로 애정하는 것과 부드러운 것은 별개의 문제다. 애정어린 부드러움을 표현하는데는 용기와 내공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한나의 회화는 그 시대 많은 작가들과 구별된다.
한나는 자신이 기본적으로 “아방가르드를 무시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평생을 뉴욕에서 살고 일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는 70년대와 80년대 펑크 신과 뉴욕 예술계가 활기로 가득 찬 시절 속을 직진해서 걸어왔는데도 (넘어지기도 하며) 말이다. 뉴욕에서는 “아방가르드를 무시하는 것” 자체가 엄청난 종류의 작업이다. 삶이 힘들어지고 정신이 망가지기도 한다. 한나는 인터뷰에서 “예술계의 순응적 태도에 놀랐죠. 멀리서 보면 아무것도 합의하지 못하는 괴짜들이 모두가 각자의 장단에 맞춰 행진하고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거기에 이런 경직성이 있다니 정말 당황스러웠습니다.”
아방가르드를 ‘추종’하고자 하면 아방가르드가 될 수 없다. 아방가르드가 모두에게 존경받을 때 그것은 더 이상 아방가르드가 아니다. 고백이 입 밖에 나오는 순간 타락하듯, 예술적 혁신은 이루어진 순간 동일한 수준의 중요성을 요구하며 반복될 수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종종 혁신은 반복되고,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결국 권력을 낳는다. 한나도 발튀스와 에드워드 호퍼처럼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개인적인 비전을 가진 한 명의 예술가가 이 흐름에 대항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그의 목소리가 미묘함을 추구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이것은 예술계가 본질적으로 지닌, 해결하기 힘들어 보이는 딜레마 중 하나이다. 외부 세계는 말할 것도 없고, 예술계에서조차 개인의 고유함을 유지하는 데는 많은 불이익과 불편함이 따른다.
한나는 많은 화가를 사랑했다. 그 중엔 나의 '최애 화가’도 많았고, 그의 작업실을 방문하면 우리가 공통적으로 좋아하던 작가들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다. 페어필드 포터, R. B 키타이, 그웬 존, 빌헬름 해머쇼이…. 에드워드 호퍼도 물론 그중 한 명이었다. 호퍼와 한나는 공통점이 많았지만 서로 다른 점도 있었다. 둘 다 영화를 좋아하고 독서를 좋아했으며, 방 안에 홀로 서있는 누드를 그리거나 인적이 드문 한적한 거리를 그렸다. 두 사람 모두 그림에 초현실적인 색조를 지녔다. 하지만 호퍼는 확실히 미국인이고, 현재형이었고, 한나는 영국을 동경하며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였다. 호퍼는 말로 표현은 자주 하지 않았지만, 작품의 형이상학적 측면이나 의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한나는 그와 달랐다. 그는 자신이 그린 여배우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고, 내가 이미 알고 있어야 한다는 듯 그녀의 생경한 이름과 그녀가 출연했던 영화에 대해 말해주었다. 자신이 그린 이미지를 어떻게 구했는지, 어떻게 그녀의 팔을 그렇게 그릴 수 있었는지 말해주곤 했다.
그는 또 내가 잘 모르던 화가들을 소개해주었다. 월터 시커트나 윌리엄 니콜슨 같은 영국 화가들의 두꺼운 단행본을 꺼내 보여주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이 화가들이 얼마나 심리적으로 복잡하고 우아한지 매료되곤 했다. 한나는 한쪽으론 앤디 워홀의 세계로 대표되는 팝아트에 발을 담그고, 다른 한 발은 이 영국 작가들과 같은 우아한 거장들에게 가있었다. 니콜슨의 그릇 그림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흰 물감칠을 보면 그들이 왜 그런 그림을 그리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회화의 에로스다. 나는 이런 물리적 순간들이 한나가 구상 회화를 택한 이유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한나가 우리 곁을 떠난 지 2년이 지난 지금 그를 돌이켜보면, 무엇보다도 그는 저항적이었다. 그는 어떤 의제나 선언문도 없이 그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그렸다. 그렇다, 자기 자신으로 존재한다는 자체가 반항이다. 세상은 당신을 위해 변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의 방에 머물면서, 세상을 바꿀 정도의 지성을 갖추고 자신의 일을 할 뿐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갈망할 것이 없고, 나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는 곳도 없다. 내가 꿈꾸는 모든 것은 좋아하는 책, 영화, 그림, 그리고 운이 좋다면 먼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을 뿐이다. 한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선언문은 그가 언젠가 러브레터라고 불렀던 이 그림들로 우아하게 위장되어 있다.
박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