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 Our Radiant Bodies...
Thomas Park's Special Exhibition
Shin Gyung Kyun & Cho Byoungsoo
11 Oct - 5 Nov, 2022
We walk within time
And our radiant bodies
With footsteps that do not fall
Are imprinted in fable….
Paul Valery
In the fall of 1953, Robert Rauschenberg summoned his neighbor and friend, musician John Cage. Rauschenberg glued twenty sheets of typewriter paper, laid it on an empty street and asked Cage to drive his Ford over it. Black house paint was poured in front of the car's rear wheels; black tire marks were left on a long piece of paper. Although this work is a kind of mono-print, it is said to have 'shifted' the meaning of ‘action painting’ that Jackson Pollock first opened the door to. In this work, they further removed the artist's ‘hand,’ deepened the performative quality that Pollock heralded, and even blurred the authorship. They also played with the elements that are hard to control, such as car and street, and the process itself became a visible result in the “straightest” way possible.
Looking at the recent paintings of architect Byoungsoo Cho, I was reminded of Rauschenberg and Cage's Automobile Print (1953). The continuous “rolling” of the brush (Cho worked by pressing and turning a large brush) marked in one long line is reminiscent of their horizontal line. However, the line drawn by Cho is different from one that the ‘machine’ left behind; Cho’s lines are continuous but not straight. His lines have a 'natural' rhythm, are undulating, evoking mountains, rivers and wind. Byoungsoo Cho, who is always busy working on large-scale architectural projects, moving around as agilely as he can be, created these marks by slowing his pace down and entrusting his body to a large brush.
Byoungsoo Cho, who has liked to draw since childhood, kept studying art while studying architecture in the United States. Since he thinks that painting is a process that brings out his inner self, he places more importance on the process than the result. As seen in his major works 'Ddangjip', ‘ㅁ-shaped jip', and 'Jipyeongjip', in his architecture, “earth” means more than just a site. For him, architecture is not just a building on the ground; it is an entity that connects with the ground and, at times, it is actually in the ground. His painting, naturally, is the unaffected trace of Cho’s attitude, who constructs a building where “earth” itself becomes a material and a structure.
When discussing Korean esthetics, the word the most often used is “자연스러움 being natural.” Its definition in the Korean dictionary is “nothing awkward since it is not purposefully done(adorned)”. ‘꾸미다(to adorn)’ means to deliberately manipulate something in order to make it look good. Or, when we say “일이나 음모를 ‘꾸미다(to make a plan or conspiracy)” we mean to deliberately plan things in advance, and when we say “이야기를 ‘꾸미다(make up a story),’” it means to tell something that is not true or real. ‘Being natural', when it comes to discussing Korean esthetics, means to be not intending and being truthful.
Cho expressed his view of architecture in his essay, Mahk, which was published in Architectural Reivew five years ago (this essay later developed into a book). Mahk is a prefix in Korean that means 'rough,' 'low quality,' or 'random' attached before nouns, or 'without hesitation' or 'indiscriminately' when attached to a verb. Cho discusses certain attitudes that permeate Korean culture through talking about Mahk. He said that “Mahk is an unapologetic rejection of refinement for the sake of refinement, of ostentation that gets in the way of practicality or honesty.”
In this essay, Byoungsoo Cho refers to the main characteristic of Korean esthetics as '자연스러움being natural' and translates it as 'spontaneity'. The word spontaneity is a suitable choice for his concept Mahk which implies ‘spontaneous’, the improvisational quality inherent in Korean culture. Concepts such as ‘무아無我(forgetting self)’ and ‘무위無爲 (not intending)’ are the Eastern methodologies of immersing oneself in an action itself, but Cho found his roots in the humble word, ‘Mahk’. Cho's focus on Mahk began when he visited Korea in 1984, while he was studying architecture in Montana State University, and saw a bowl called ‘Mahk Sabal.’ The aesthetic attitude and methodology he saw in the bowl became his underlying thoughts towards architecture.
Mahk Sabal has a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This humble looking bowl was made in the mid-16th century in the Gyeongsang province of Joseo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bowl was used for simple tableware in Joseon, but there is no record of its use found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document that mentions the use of this bowl is the book Tea and Beauty by Yanagi Muneyoshi(1889-1961), a Japanese critic. It was a rice bowl, Muneyoshi said in this book. Koreans made and used this bowl, but it was the Japanese who found beauty in it and treasured it.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Japanese tea people who were looking for a way to reform the existing culture of tea ceremony which’d been immersed in luxury and splendor, found the answer in a humble rice bowl of Joseon. Murata Juko(1423-1502) and Takeno Joo(1502-1555), who were the leaders of this reform, and Senno Rikyu(1522-1591), who completed the aesthetics of Wabi-Sabi, selected it as the best tea bowl for their renewed tea ceremony which should be serene and simple. They called the bowl Ido Dawan which became a symbol of the alliance and loyalty of the Japanese samurai class. Toyotomi Hideyoshi(1537-1598), who learned the tea ceremony from Senno Rikyu, treasured Ido Dawan. In order to obtain Dawan which meant power, the Japanese kidnapped Korean potter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Imjin War(1592-1598), the Pottery War. The complex history of Japan and Korea is melted in this single bowl. It is said that there are now about 200 Ido Dawan in Japan and one of them is a national treasure. They keep these dawans in several layers of boxes, and when they look at them, they kneel down as if bowing down. A rice bowl that used to contain the simple life of Koreans became the object of almost religious fetishism when transplanted in Japan.
Gyung Kyun Shin is a Korean artisan who is placed in this turbulent history with or without his will. His father, Jeong-hee Shin (1930-2007), is a potter who succeeded in recreating the Korean Sabal, the prototype of Ido Dawan, for the first time in 500 years. Shin learned pottery from his father from an early age, and inheriting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making Dawan, but he makes not only tea bowls, but also tableware, Punju(large bowl), and jars. It was almost shocking to see a scene in a documentary where he totally lost himself in making a bowl kicking the wheel, as if he was in a trance, using his entire body. He said in an interview that he bruised his thighs on days when he kicked the wheel badly. He still uses the kicking wheel when everybody else uses electric wheel because of the “natural” rhythm that can only be obtained by using his own body to turn the wheel.
It was Dad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at introduced the element of ‘chance’ in Western art. Until then, art means a long period of training, the artist's talent, and meticulous preparatory process. The moment Marcel Duchamp ‘accidentally’ puts a bicycle wheel on a stool and calls it art, the element of ‘accident’ in art is announced. After that, artists began to actively incorporate the element of 'accident' in the selection of materials or the work process. Rauschenberg, who was called 'Neo Dada' along with Jasper Jones, had already been making collages with the materials he found 'accidentally' by the time he made Automobile Print. John Cage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chance, and in 1951, composed a piano piece called Music of Changes by asking I Ching, Book of Changes. For Cage, he said in an interview, that this meant “imitating nature in its manner of operation.”
In ceramic making in Asian culture, “chance” was one of the factors, like material, that always had to be considered. However, it was not just about adopting a chance factor, rather a gesture of accepting the force of nature. It is to let the irregular marks made by the kicking wheel, to allow the traces of the passing of fire in the kiln, to watch the fire break down the form, and to expect the unexpected colors that are created when the clay meets with fire. Predicting how nature will act, they prepare with a long and arduous work, but in the end, they let go of their intention and let nature do what it does. Gyung Kyun Shin, who started kicking a wheel at the age of 15, has built an earthen kiln eight times so far. He travelled all over the country in search of clay, and when he found the clay he liked, he built a kiln there. If the kiln was not built well enough, he would build it again. Although he was born in Gyeongsang-do, he once built a kiln in Goheung, Jeolla-do (the site of a Buncheong kiln), and worked there for 14 years living alone without his family. Shin says that ceramic making is the art of fire. He uses special firewood to quickly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 which is designed for the fire to pass through. His firewood is made of Korean pine trees cut into 10cm thick slices and air dried for 5 years. Next to his kilns(he has two operating kilns now, one in Kijang, the other Yanggoo), these thin fan firewoods are piled up like a mountain. About 4 times a year, he would fire the kiln. Before he fires it, he holds a ceremony, Gosa, (Gosa is a ritual that asks for good luck, bowing to the pig’s head) praying for everything turns out well.
I see a new genre in Shin's Cha Sabal (tea bowl). It is neither a painting nor a sculpture but it is pictorial and sculptural. His bowl often makes me wonder if this really is a tea bowl. The layers of subtle colors created by the chemical reactions of soil, glaze and fire is a kind that you’ve never seen before. Due to the uneven temperature in the kiln, the composition of the soil, and the moisture, even the bowls produced in the same firing have different colors. The sculptural forms are not intentionally shaped, but earned by letting honest vessels form(or de-form) in the flames. For each bowl, the energy of the axis that holds the body of the bowl varies, so do the lines that rise up and spread out along the axis.
Looking at his tea bowl, one might see the wind carrying the roundness of the full moon, smell the scent of acacia last night, and hear the quiet sound the earth is making. His tea bowl makes you stop right there to look at it, but one is expected to drink tea from this bowl everyday. Unlike the works of art that are to be appreciated from a distance, it is a special object that we use and appreciate with our hands, making traces of our own use (The traces left on the teacup after drinking tea are called Cha Shim). Mahk Sabal was a rice bowl used by common people in Joseon; Ido Dawan was the symbol of power of Japanese Samurai; Shin’s tea bowl is a genre for a special class. This class of people recognizes what to preserve in this rich and turbulent history, and the artisan whose life-long devotion to his work is unparalleled. These are people who embrace the flow of time with both hands and see the beauty that stops time.
Mimi Park
우리는 시간 속을 걷는다
그리고 환하게 빛나는 우리의 몸
우화 속에 새겨져
추락하지 않을 발자국을 남기며….
폴 발레리
1953년 가을, 로버트 라우셴버그는 이웃이자 친구였던 음악가 존 케이지를 불러냈다. 라우셴버그는 타자기 종이 스무 장을 이어붙여 텅 빈 길 위에 깔고, 케이지에게 그의 차를 몰아 그 위를 지나라고 했다. 자동차의 뒷바퀴 앞에 검정 페인트를 부어놓았고, 긴 종이 위에 타이어 자국이 일자로 찍혔다. 이 작업은 일종의 모노프린트로 분류되지만,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의 의미를 ‘틀었다’는 평을 듣는다. 이 작품에서 그들은 폴록보다 작가의 ‘손’을 더 없앴고, 퍼포먼스적 요소를 더 강하게 했고, 심지어 작가가 누군지를 흐렸다. 자동차, 거리와 같이 작가가 컨트롤하기 힘든 요소를 끌어들인 점이나, 과정 자체가 최대한 눈에 ‘똑바로’ 보이는 결과가 되었다는 점들도 그렇다.
건축가 조병수의 최근 그림들을 보고 나는 라우셴버그의 <오토모빌 프린트 Automobile Print, 1953>을 떠올렸다. 끊이지 않고 계속되는 붓의 “굴러간” (조병수는 커다란 붓을 눌러 돌리며 작업을 했다) 자국이 일자로 이어진 그림이 이 작업을 연상시킨 것이다. 하지만 조병수의 일자는 그들이 남긴 ‘기계’의 그것과는 다르다. 조병수의 선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다. 그의 선은 ‘자연적’인 리듬을 갖고, 산과 물과 바람을 떠올리게 하는 불규칙한 포물선들로 이어진다. 평소에 대형 건축 프로젝트들을 맡아 바쁘게, 민첩하게 움직이는 조병수가 잠시 그 속도를 늦추고, 제 몸을 커다란 붓에 맡기어 만들어낸 흔적이다.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던 조병수는 미국에서 건축을 공부하면서 미술도 함께 공부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그의 내적 세계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그는, 결과물보다 과정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의 대표작인 ‘땅집', ‘ㅁ자집', ‘지평집’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의 건축에서 땅은 사이트 이상의 의미이다. 땅 위에 오롯하게 지어진 것만이 건축이 아니고, 그에게는 땅과 이어지고 심지어 땅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건축이라는 작업이다. 그의 그림은, 땅 자체가 재료가 되고 구조가 되는 건물을 짓는 조병수의 몸짓이 꾸밈없이 드러난 자국이다.
한국의 미를 논할 때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는 “자연스러움”이다. 그 사전적 의미는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여 이상함이 없다”이다. ‘꾸미다'라는 말은 무언가를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일부러 매만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계획이나 음모를 꾸미다’라고 할 때 일을 미리 의도적으로 계획한다는 뜻과 ‘이야기를 꾸며내다’ 할 때 거짓을 말하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움은 의도가 없고, 거짓이 없는 상태이다.
조병수는 5년 전 건축 리뷰 Architectural Review에 게재된 에세이(이 글은 후에 한 권의 책으로 발전한다)에서 “막 Mahk”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그의 건축관을 피력했다. 막 Mahk은 한국어의 접두사로, 일부 명사 앞에 붙어 ‘거친,’ ‘품질이 낮은,’ 또는 ‘닥치는 대로 하는,’ 또는 동사 앞에 붙어 ‘주저 없이,’ ‘함부로’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조병수는 막 Mahk이라는 접두어로 한국 문화에 스며있는 어떤 태도에 대해 논한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막 Mahk은 세련되어 보이기 위한 의도, 그리고 실용성과 정직함에 방해가 되는 겉치레를 거부하는 단호한 제스처이다.”
조병수 또한 이 에세이에서 한국의 미의 주요 특성을 ‘자연스러움’이라 말했는데, 그는 이를 ‘spontaneity’라 번역한다. Spontaneity라는 번역어는 그의 개념 ‘막 Mahk’과도 잘 연결된다. ‘막하다’에는 spontaneous 하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고 이는 한국 문화에 내재된 즉흥성이다. 우리가 자주 쓰는 ‘무아無我’ ‘무위無爲’ 등의 개념은 자아나 의도를 잊고 행위 자체에 몰두하는 동양의 방법론인데, 그는 ‘막’이라는 겸손한 단어에서 그 뿌리를 찾았다. 조병수의 막 Mahk에 대한 천착은 그가 몬타나 주립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하던 시절인 84년도 한국에 방문했다가 ‘막사발’이라 불리는 한국의 사발을 본 것에서 시작되었다. 막사발에서 한국인 특유의 미적 태도와 방법론을 본 것이다.
‘막사발’은 독특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한국인이 ‘막’이라는 접두사를 붙일 정도로 소박한 생김새의 막사발은 16세기 중반 조선의 경상도 지방에서 만들어졌다. 조선에서 이 사발은 식기였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한국의 옛 문헌에서 이 그릇의 쓰임새에 대한 기록은 없다. 이 그릇의 쓰임새에 대해 언급이 된 문헌은 일본의 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의 <차茶와 미美>이다. 그는 이 그릇이 한국의 밥사발이었다고 했다. 이 그릇을 만든 것은 한국인이었지만 이 그릇의 미학을 본 것은 일본인이었다.
15세기 말 사치와 화려함에 빠져있던 다도 문화를 개혁하고자 했던 무라카 준코와 타케노 조오, 그리고 와비사비의 미학을 완성한 센노 리큐(1522-1591)는 조선의 사발을 제일의 다완으로 꼽았다. 그렇게 조선의 사발은 고요하고 청정한 다도의 표상, 그리고 그 다도를 동맹의 의식으로 여기던 일본 무사 계급의 상징, 이도다완이 되었다. 리큐에게 다도를 배운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도다완을 매우 귀중히 여겼다. 무사계급의 파워와 동의어가 된 다완을 손에 넣기 위해 일본인들은 조선의 도공들을 납치했으며, 결국 “도자기의 난”이라 불리는 임진왜란(1592-1598)까지 일으키게 된다. 이도다완은 지금 일본에 200여 점이 있다고 전해지고, 이중 한 점은 국보이다. 지금도 그들은 이 다완을 몇 겹의 상자에 싸서 보관하고, 볼 때는 절하듯 엎드려서 본다. 과거 한국인의 평범한 삶을 담는 밥사발이 일본에 가서 거의 신앙에 가까운 페티시의 대상이 된 것이다.
신경균은 이 파란 많은 역사의 흐름 속에 놓인 한국의 장인이다. 그의 아버지 신정희(1930-2007)는 500년 만에 이도다완의 원형인 한국의 사발을 재현해낸 도공이다. 신경균은 어려서부터 아버지에게 도자를 배웠고, 아버지가 남긴 전통의 기법을 이어받아 찻사발 뿐 아니라 식기, 푼주, 항아리까지 짓는다. 나는 한 TV 다큐멘터리에서 그가 신들린 사람처럼 발물레 차는 장면을 보고 약간의 충격을 받았다. 그는 인터뷰에서 발물레를 심하게 차는 날에는 허벅지에 피멍이 든다고 했다. 남들은 다 전기 물레를 쓰는데, 그는 발물레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신체가 주는 “자연스러운” 리듬의 흔적 때문에 아직도 발물레를 쓴다고 했다.
서양 미술에서 ‘우연 chance’의 요소가 도입된 것은 20세기 초 다다 Dada에 와서였다. 그전까지 예술이란 오랜 기간의 훈련과 작가의 재능, 치밀한 밑그림과 작업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1913년 마르셀 뒤샹이 ‘우연히’ 자전거 바퀴를 스툴 위에 놓고 그걸 아트라고 부르는 순간 ‘우연’이란 요소가 예술에 도입되었다. 그 이후 미술가들은 재료의 선택이나 작업 과정 속에 ‘우연’이라는 요소를 적극 들여놓기 시작했다. 재스퍼 존스와 함께 ‘네오 다다’라 불리던 라우셴버그도 <오토모빌 프린트>를 제작할 무렵 이미 ‘우연히’ 발견한 재료들로 콜라쥬를 만들고 있었다. 존 케이지 또한 우연의 방법론을 채택, 51년 주역(Book of Changes) 점을 쳐서 “Music of Changes” 라는 피아노 곡을 작곡했다. 케이지는 이에 대해 ‘자연이 작동하는 방식을 모방하는’ 방법이었다고 말했다.
동양의 도자 작업에서 ‘우연'은 재료처럼 항상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는 그저 우연이라기보다는 자연의 힘을 받아들이는 제스처이다. 발로 차는 물레가 내는 자국, 가마 안에서 불길이 지나가는 흔적을 허용하고, 불이 무너뜨리는 형태를 보고, 흙이 불과 만나 내는 색깔을 기대하는 것이다. 자연이 어떤 식으로 작용할지 예측해서 오랜 시간 고되게 작업을 준비하지만, 결국엔 자연이 하는 대로 놓아두는 것이다.
열다섯 살 때부터 물레를 차기 시작한 신경균은 지금까지 흙가마를 여덟 번 지었다. 흙을 찾아 전국의 곳곳을 뒤졌고, 마음에 맞는 흙을 찾으면 그곳에 가마를 지었다. 가마가 성에 차지 않으면 다시 고쳐지었다. 경상도에서 태어난 그가 전라도 고흥(분청사기 가마터)에 가마를 짓고 14년 동안 그곳에 혼자 지내며 작업을 하기도 했다. 신경균은 도자를 불의 예술이라고 말한다. 그는 불길이 잘 지나도록 만든 가마에, 가마 속 온도를 빠르게 올리기 위해 특별히 준비한 장작을 사용한다. 그가 쓰는 영사(가마에 쓰는 장작)는 한국의 소나무를 10cm 두께로 쪼개어 5년간 말려 만든 것이다. 그의 가마 옆에는(그는 현재 두 개의 가마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는 기장, 하나는 양구에 있다) 이 가늘게 팬 장작들이 빼곡하게 산처럼 쌓여있다. 일 년에 4번 정도 가마를 때는데 가마를 때기 전에는 고사를 지낸다. 작품이 잘 되도록 기도하는 것이다.
난 신경균의 찻사발에서 새로운 장르를 보았다. 회화도 아니고 조각도 아닌데, 회화성과 조형성을 느꼈다. 보통 다완에서는 보기 힘든 수준의 것이어서 이게 정말 찻사발이 맞나 싶기도 하다. 흙과 유약과 요변이 낳은 미묘한 색깔이 겹쳐져 낳는 표면은 어디서도 본 적이 없는 종류이다. 가마 내 일정하지 않은 온도와 흙의 성분, 수분으로 인해 같은 가마에서 낳은 그릇이라도 색이 모두 다르다. 조형적인 특성도, 일부러 모양을 낸 것이 아니라, 정직하게 만든 그릇을 불길에 내맡겨 얻은 형태이다. 각각의 사발마다 사발의 몸체를 관통하는 축의 기운이 다르고 축을 따라 위로 솟아 옆으로 퍼지는 선의 형상이 다르다.
그의 찻사발을 보고 있으면 어젯밤 둥근 달의 심상과 아카시아 향을 실은 바람이 느껴지기도 하고, 땅이 내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그의 찻사발은 하던 일을 모두 멈추고 보아야 할 정도로 아름다운데, 여기에 매일 차를 담아 마신다고 한다. 항상 거리를 두고 감상하는 예술 작품들과는 달리 두 손으로 감싸들고 사용하고 감상하며, 내가 사용한 흔적(차를 마셔 찻잔에 남는 흔적을 차심이라 한다)을 만들어가는 특별한 오브제인 것이다. 막사발은 조선의 서민들이 밥그릇이었고, 이도다완은 일본 무사들의 상징물이었고, 신경균의 찻사발은 특정한 계층을 위한 장르이다. 이 계층은 파란의 역사를 거쳐 우리에게 남겨진 가치와, 그리고 일생을 바쳐 헌신하는 작가를 알아보는 사람들이다. 시간의 흐름을 두 손에 안고, 시간을 멈추는 아름다움을 눈으로 보는 사람들이다.
박상미